이제 생선 데이터를 벗어나 와인을 분류해보자. 주어진 문제는 알코올 도수, 당도, ph값으로 레드와인과 화이트와인을 분류하는 이진분류 문제이다. (화이트와인을 1로 양성 클래스) 사실 그동안의 과정을 통하면 가능한 작업이다. 와인데이터를 로드해서 데이터의 여러정보를 판다스의 기능을 이용해서 확인해보았다. 일단 데이터정보를 살펴보니 스케일이 다르기 때문에 표준화를 해야하고 데이터 안에 타겟값이 같이 들어있어 분류해내어서 써야 한다. 로지스틱 회귀를 써서 잘 분류까지 진행되는 작업이다. 하지만 위 내용은 책에서는 일반인이 계수와 절편값들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남들에게 좀 더 설명하기 쉬운 다른 알고리즘을 쓰는것으로 나온다. 즉 일반 순서도의 결정처리처럼 처리되게 하는 결정트리 알고리즘을 쓰..